2022/07 7

알로에와 양배추 그리고 밀가루 정보

알로에 화상입었을 때 위가 안좋을 때 알로에가 도움이 된다. 세균번식을 억제하는 항염작용을 한다. 알로에는 자르면 진액이 흘러나오는데 다당류와 당단백질이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말초혈관을 확장시켜주고 혈압을 안정시켜준다. 알로에는 임산부에게는 섭취시 주의가 필요하다. 알로에를 건조시켜서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어 차에 타서 마시거나 요거트에 넣어 먹으면 좋다. 변비에 효과적이고 피부가 건조할 때도 효과적이다. 양배추 위염, 위궤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칼륨성분도 풍부하여 위점막을 재생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양배추를 생으로 먹으면 섬유질을 소화가 잘 안될 경우 되도록 피해야 한다. 양배추는 원기회복에 좋고 비타민C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혈액을 응고시키거나 뼈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도 있고 비타민U가 다량 함..

리뷰와 정보 2022.07.24

작물의 내한성과 관개의 효과?

작물의 내한성이란? 작물이 건조한 환경을 견디는 성질이며 내한성이 강한 작물은 수분 보류력이 크고 수분함량이 낮은 상태에도 생리활성이 높다. 세포내의 건조는 효소 활력이 낮아 합성작용은 줄어들고 분해작용은 강해지며 단백질과 당분이 소진되어진다. 건조해져서 세포가 탈수될 때 원형질은 수축되고 작물의 세포에 수분이 감소하면 수분이 제한인자가 되어 광합성이 줄어들고 양분흡수가 낮아진다. 내한성이 강한 작물의 특성? 뿌리가 깊고 지상부보다 뿌리가 발달되어 있다. 저수능력이 높고 다육화 경향이 나타난다. 기동세포가 발달하여 탈수되면 잎이 말려서 표면이 축소되고 작아진다. 조직이 치밀하고 엽맥과 책상조직이 발달하고 표피에는 각피가 잘 발달되어 있다. 탈수되면서 원형질의 응집이 적어진다. 세포가 작아 수분이 줄어도 ..

리뷰와 정보 2022.07.18

식물성장에서 광합성과 삼투압의 역할?

광합성의 의미?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대기의 이산화탄소와 뿌리에서 흡수된 물을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과정이다. 광합성을 하여 엽록소를 얻고 유기물을 생성한다. 엽록소 분자는 C, H, O, N, Mg로 구성되어 있다. 엽록소는 틸라코이드막에 존재하고 광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광합성 작용에는 물질생산과 에너지 고정, 엽록체를 가진 세포, 산소방출, 이산화탄소와 수분 소비, 낮에 발생된다. 명반응 :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화학적 반응이고 광분할에 의해 물이 쪼개지면서 틸라코이드 안에서 산소를 방출한다. 물의 광분할을 통해 광에너지를 NADPH와 같은 불안정한 상태의 화학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광화학반응이다. 암반응 : 효소반응으로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광과 관계없이 일어난다. 엽록체..

리뷰와 정보 2022.07.17

토양의 구조와 필수원소에 대해 알아보자

경토의 토양구조? 단립구조는 비교적 큰 입자가 단일상태로 집합되어 있다. 통기성과 투수성은 좋지만 소공극이 적어서 수분 보류력은 작다. 이상구조는 메시한 토양입자가 단일상태로 집합되어 있고 소공극은 많고 대공극은 적고 토양통기가 나쁘며 부식함량이 적다. 입단구조는 여러개의 무기질 입자가 양이온, 유기물과 미생물 분비물 같은 결합제에 의해 하나의 큰 입자로 뭉쳐진다. 유기물과 석회가 많은 표층토에서 많이 있다. 대공극과 소공극이 많아서 통기성이 좋고 투수성이 좋다. 수분 저장성이 좋아서 작물 생육에 가장 좋다. 토양의 공극의 종류? 대공극은 모관현상이 없고 비모관공극이 발달하고 통기성이 좋아지고 지하수의 증발이 억제된다. 소공극은 모세관현상으로 지하수가 상승된다. 모관공극이 발달하면 지하수 상승 빨라서 토..

리뷰와 정보 2022.07.16

식물세포의 구조와 DNA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식물의 구성이란? 식물은 세포 → 조직 → 조직계 → 기관 → 개체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세포의 구조? 핵 – DNA가 들어있고 유전 형질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장, 유전의 핵심적 기능을 수행한다. 엽록체 – 광합성 색소와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 효소가 있고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며 2중막 구조에 자기 증식을 한다. 미토콘드리아 – 호흡에 관여하고 ATP를 합성한다. 2중막 구조와 자기 증식이 가능하다. 리보솜 – 단백질 합성 장소이고 막이 없는 과립모양의 구조물이다. 세포막 – 인지질 2중구조에 단백질이 사이사이에 있고 유동모자이크 구조로 되어있다. 액포 – 식물세포에 존재하고 단일막 구조이며 성숙세포일수록 크다. 삼투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액포속 세포액에는 유기산과 무기염류가 있다...

리뷰와 정보 2022.07.14

작물의 분류와 품종에 대해 알아보자

식물의 종류를 나누는 기본단위이며 개체간의 교배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종이라고 한다. 아종 : 특정 지역환경에 적응해서 생긴 것이며 생태종이라고도 부르고 하나의 종 안에서 형질의 특성이 차이가 나는 개체군을 말한다. 생태종 : 생태종 중에는 교잡친화성이 낮고 유전자교환이 어려워 형태적 차이가 보인다. 생태형 : 생태종 안에서 재배유형이 다른 것으로 교화친화성이 높고 유전자 교환이 잘 생긴다. 품종이란? 서로 구별되는 특성이 있고 그 특성이 재배시 지장이 없고 균일하며 세대가 진행되도 특성이 변화가 없는 개체군을 말한다. 품종은 작물의 기본단위이고 균일한 농작물을 생산하는 개체이다. 다양한 재배환경에서 적응하여 생기고 각각의 생태형에는 많은 품종이들이 들어있다. 계통이란? 품종을 육종하는 과정중에 인..

리뷰와 정보 2022.07.14

작물재배 육종에 대해 알아보자

작물육종이란? 지구온난화와 인구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물의 생산량 증대와 품종 향상에 더욱 빠르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목표형질에 대한 유전변이를 만들어 우량 유전자형을 뽑아서 신품종으로 개발하여 보급하는 일이다. 작물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생산성과 품질성 그리고 저항성이 중요하다. 우량품종을 육성하면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작물육종의 단점도 분명하게 발생된다. 우량한 품종만 집중 재배했을 경우 기상재해와 병충해의 피해가 발생할 경우 한 번에 큰 피해를 볼 수 있다. 육종의 과정? 육종목표가 설정될 때는 자식성 작물과 타식성 작물 둘 다 개량 목표형질의 특성을 실현 가능한지를 알아봐야 한다. 신품종으로 결정되지 전 육성한 우량계통을 생산성 및 지역적응성을 실험해본다. 육종대상의 ..

리뷰와 정보 2022.07.13